전체메뉴

사이트맵 닫기

인천광역시 치매관련현황

  • 65세 이상
    치매인구수

    43,980
  • 65세 이상
    치매유병률

    9.84%
  • 치매안심센터
    현황(본소)

    10개소
  • 치매안심센터
    현황(분소)

    13개소
  • 치매안심마을
    현황

    37
  • 치매파트너
    현황

    107,618
  • 치매극복선도단체
    현황

    183
현황판 닫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통합검색

모든 사람이 행복한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역치매센터가 함께 합니다.


본문

돌봄사전

경도 치매환자와의 의사소통

경도 치매환자는 단어를 기억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환자의 상태와 상황을 배려하여 적절하게 반응하면 충분히 대화하고 관계를 맺어갈 수 있습니다.
경도 치매환자의 언어장애
치매의 종류에 따라 언어능력의 저하가 진행되는 속도는 다르지만, 시간이 갈수록 조금씩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생기게 됩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환자가 의사소통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 경도 치매환자에서 가장 흔한 언어증상은 가끔씩 단어가 잘 떠오르지 않아 머뭇거리는 것입니다. “저것”, “그것”과 같은 표현을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 사물의 이름 대신 그에 대한 설명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반지를 ‘둥그런 것’이라고 하거나 넥타이를 ‘목에 매는 것’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을 혼동하거나(가위 - 가지), 의미가 유사한 다른 단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감자 - 고구마).
  • 치매가 진행되면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기 어려워할 수 있습니다. 문장 속에 있는 단어를 이해하지 못해서일 수도 있고, 설명을 듣는 사이에 앞부분의 내용을 잊어버리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 문장 이해력이 떨어져서 신문이나 책 읽는 것을 좋아하던 사람이 잘 읽으려 하지 않게 되고 뉴스나 드라마를 보면서도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 직접 얼굴을 보며 들은 내용은 이해하지만 전화로 들은 내용은 이해하지 못하는 대상자도 있습니다. 일부러 모르는 척 한다고 오해해선 안 됩니다.
  • 어떤 사람은 글을 소리 내어 읽을 수는 있지만,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증상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메모 내용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고 해서 그 의미를 다 이해하는 것은 아닙니다.
경도 치매환자와의 의사소통
  • 치매환자의 경우 몇 번 본 사람이라도 이름이나 직업을 잘 기억 못할 수도 있으니 확실히 기억할 때까지 만날 때마다 반복해서 친근감 있게 본인의 소개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복잡한 문장은 피하고 가능한 한 짧고 간단한 문장들을 사용하세요. “점심시간에는 사람들이 많이 몰려서 한참 기다려야 되니까 더 늦기 전에 지금 잠깐 은행에 다녀올게요.”라고 말하는 대신, “지금 은행에 다녀올게요.”라고 말씀하세요.
  • 한 번에 한 가지씩만 요청하세요. 치매환자는 여러 가지를 한 번에 이해하거나 한꺼번에 기억하기 어려워 할 수 있습니다. “마트에 가야 하니 샤워를 하고 머리를 말리고 화장을 하고 코트를 입으셔야 해요.”라고 말하면 기억하기가 어렵습니다. 일들을 단계별로 쪼개어서 하나씩 말씀드려야 합니다.
  • 되도록 천천히 말하고, 환자가 답할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치매환자는 말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고 원하는 표현이 잘 생각나지 않을 수도 있어 생각할 시간이 필요합니다. 치매환자가 원하는 것을 생각하고 설명할 시간을 주어야 하며, 치매환자의 말을 중단시키기 않도록 조심합니다. 기다리는 동안 당신이 환자의 말을 듣고 있다는 몸짓이나 표정을 지어줍니다.
  • 어떤 화제든 환자에게 이야기하기 전에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후 얘기하시면 듣는 사람이 이해하기가 훨씬 쉽습니다.
  • 환자의 말을 되풀이 해주거나 요약해서 대화가 끊기지 않도록 합니다.
  • 중요한 일에 대해서는 한 번 더 말해줍니다. 특히 시간이나 장소 등을 알릴 때는 반복해서 따라 말하게 합니다.
  • 화제를 갑자기 바꾸지 않도록 합니다. 하지만 만약 화제가 갑자기 바뀌었다면 “지금 OO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어요.”라고 말해줍니다.
  • 일상생활에서 불필요하게 대상자를 테스트하는 질문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대상자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수치심을 느끼거나 자존심을 손상시키는 질문으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어머니, 이 물건 이름이 뭐지요?”, “이 사람이 누군지 모르시겠어요?” 라는 식의 질문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 지적하거나 잘못을 고치도록 강요하지 않습니다. 일부 치매환자는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인 것처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돈을 받은 적이 없는데 돈을 주었다고 주장할 수도 있고, 통장을 어디 두었는지 기억 못하고서 누가 훔쳐갔다고 의심할 수도 있습니다. 치매환자의 이런 말과 행동은 치매로 인한 증상이므로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사실에 집착할 필요는 없습니다. 환자의 입장에서 기분을 공감해 주고 환자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어머니, 통장이 없어져서 걱정이 많이 되시겠어요. 저랑 같이 찾아보실래요?”).
  • 답답함이나 분노를 비롯한 모든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합니다.
  • 돌보는 이가 환자를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 치매환자도 옛날 일들은 잘 기억하곤 합니다. 뜻 깊은 추억이나 과거의 즐거웠던 에피소드를 떠올리면서 이야기하도록 유도해 보세요.
  • 꼭 필요한 사항이 있다면 환자가 물어보기 전에 미리 이야기해 줍니다. 환자가 질문할 기회를 깜박 잊어버려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안경이나 보청기, 틀니 등이 맞지 않을 경우에도 언어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편안하게 잘 맞는지 확인해 봅니다.
  • 언어능력의 장애는 매일 똑같은 정도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좀 더 좋은 날이 있고, 좀 더 나쁜 날이 있습니다. 때로는 몸이 좋지 않거나 먹고 있는 약의 부작용으로 인해 의사소통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갑자기 증상이 나빠질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하도록 합니다.
  • 뇌졸중으로 인한 언어장애의 경우는 급성 뇌졸중 상황을 어느 정도 극복한 후에 언어치료를 받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